개인적으로 밸러스트 포인트(Ballast Point) 양조장의
맥주들 가운데 가장 선호하는 Black Marlin Porter 입니다.
밸러스트 포인트가 국내에 처음 수입된 시기부터
사람들에게 선보여진 나름 연차있는 맥주입니다.
바로 지난 번에 다루었던 The Commodore 는
동일 양조장에서 만든 미국식 스타우트(Stout)로,
홉의 씁쓸함과 검은 맥아의 탄 맛 등이
매우 자극적이게 드러나는 간이 센 맥주였습니다.
- 블로그에 리뷰된 밸러스트 포인트 양조장의 맥주들 -
Ballast Point Calico Amber Ale (밸러스트 포인트 칼리코 엠버 에일) - 5.5% - 2013.09.07
Ballast Point Fathom IPL (밸러스트 포인트 패덤 IPL) - 7.0% - 2014.05.25
Ballast Point Dorado Double IPA (밸러스트 포인트 도라도 더블 IPA) - 10.0% - 2014.08.11
Ballast Point Sea Monster (밸러스트 포인트 씨 몬스터) - 10.0% - 2014.09.20
Ballast Point Piper Down (밸러스트 포인트 파이퍼 다운) - 5.8% - 2015.03.19
Ballast Point Even Keel (밸러스트 포인트 이븐 킬) - 3.8% - 2015.05.01
Ballast Point The Commodore (밸러스트 포인트 더 코모도어) - 6.5% - 2016.09.18
반면 블랙 마린 포터(Black Marlin Porter)는
그 기반은 영국의 포터(Porter)이긴 하나..
양조장 성향이 어디 가질 못하듯 공격적 홉(Hop)의
성향을 키운 Hop-Forward Porter 로 제작되었습니다.
이러한 성향의 맥주들은 American Porter 로 묶이며 미국의
크래프트 맥주 양조장들이 주로 만드는 타입으로 여겨집니다.
영국의 포터와 미국의 포터가 어떻게 다른지 알고 싶다면
Fuller's London Porter 와 이것 or 블랙 마린을 비교해보면 좋습니다.
그래도 포터(Porter)니까 The Commodore 에 비하면
그나마 조금 더 고소하고 순한 속성을 가졌을겁니다..
포터(Porter)라는 이름 치고는 더 어두운
검은색을 띄는게 눈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초컬릿, 카라멜, 견과, 스모키 등이 있으며,
포터 치고는 검은 맥아 특유의 향이 많긴하나
The Commodore 에 비하면 얌전한(?) 편입니다.
탄산은 많지 않아 포터에선 무난한 정도며,
질감과 무게감은 중간정도의 무게감고 점성으로
심각하게 무겁지 않으면서 안정감주는 성질입니다.
카라멜이나 바닐라와 같은 적당한 단 맛이 느껴지며,
담백하거나 개운한 속성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온건한 단 맛 위에 로스팅 커피, 초컬릿,
검붉은 건 과일, 약간의 감초 같은 맛이 나오며
풀과 같은 씁쓸한 홉 맛도 같이 등장해주었습니다.
마시고 나면 입 안에 맴도는 견과 같은 고소함도 있네요.
개인적으로 느꼈던 소감은 향과 마찬가지로
맛에서도 포터 치고는 검은 맥아 맛이라던가
홉의 씁쓸함이 더 강한 편에 속하는 제품이긴하나,
The Commodore 수준으로 맛이 범람한다는
생각까지는 이르게 하지는 않았습니다.
어쨌든 잘 만들어진 포터라는 생각이 드는군요.
제 취향은 확실히 이쪽에 가깝다는걸
다시 한 번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