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파이 외국친구 - 5.0%
맥파이 양조장의 레귤러 필스너 라거 스타일 맥주로
2년 전 시음기를 올린 동네친구라는 제품이 있습니다.
오늘 시음하는 외국친구는 동네친구의 파생상품으로,
포옹중인 친구의 그림이 공통적으로 그려져 있지요.
그러면 외국친구와 동네친구는 다른점이 무엇인가 묻는다면,
외국친구는 싱글 홉 필스너라는 부분이 큰 차이입니다.
- 블로그에 리뷰된 맥파이 양조장의 맥주들 -
맥파이 겨울산행 - 5.0% - 2021.02.14
맥파이 봄마실 - 4.0% - 2021.04.07
맥파이 여름회동 - 6.0% - 2021.07.28
맥파이 가을가득 - 5.5% - 2021.10.04
맥파이 겨울방학 - 7.2% - 2022.01.07
맥파이 페일 에일 - 4.8% - 2022.04.13
맥파이 복덩이 - 7.0% - 2022.05.05
맥파이 시너 - 9.0% - 2022.08.14
맥파이 후딱 - 3.5% - 2023.04.03
맥파이 동네친구 - 5.0% - 2023.10.29
맥파이 천근만근 - 11.0% - 2024.01.12
맥파이 주시박스 - 4.5% - 2024.03.24
맥파이 탄내 - 5.4% - 2024.06.10
맥파이 모다정 - 5.0% - 2024.08.15
맥파이 땡삐 - 7.0% - 2024.11.09
맥파이 철새 - 6.0% - 2025.01.21
싱글 홉(Single Hop)이라는 것은 해당 맥주에
홉을 단일 품종 딱 하나만 사용했다는 것입니다.
사실 생각보다 맥주 세계에서는 싱글 홉 맥주가 많습니다.
홉의 풍미와 특별한 관계가 없는 스타일들에서는,
예를 들면 스타우트나 헤페바이젠, 라이트 라거 등등은
굳이 언급할 필요도 없이 싱글 홉 맥주인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홉이 강조된 스타일인 페일 에일, IPA 등에서는
싱글 홉인 경우가 흔치는 않은 편인데, 조금 더 다채로운 홉의
풍미를 살려내기 위해서 여러 홉들을 조합하는 편이 다수입니다.
반면 독일이나 체코 필스너에서 싱글 홉을 사용하는 경우는 꽤 있고,
특히 맥파이의 외국친구는 전통 홉들보다는 새로운 홉들에 초점을 맞춰
해당 홉의 맛을 소비자들에게, 특히 홈브루를 하는 소비자들에게는
해당 홉의 캐릭터를 알고 훗날 쓸 수 있도록 제시해주는 컨셉도 포함합니다.
작년 가을에 나온 외국 친구는 벨마(Belma)라는 미국 홉을 사용하였으며,
베리류의 느낌이 가장 먼저 등장하는 살짝 마이너한 품종의 홉입니다.
필스너 기반의 맥주 답게 대체로 맑은 금색을 띄고 있습니다.
풀(Grass), 베리류, 감귤 등의 향을 내고 있었고,
적당한 풀과 적당한 과일이 나오는 향의 양상입니다.
탄산기는 보통으로 특별하게 과도한 탄산기는 없었고,
질감이나 무게감은 가볍고 연한 편이라 쉽게 들어갑니다.
맥아에서 나오는 눈에 띌 만한 단맛은 없었기에
깔끔하고 개운하게 마시기 좋은 필스너 라거였습니다.
홉의 맛은 풀, 약간의 솔이나 흙, 레몬, 딸기 등등으로
과한 홉의 퍼포먼스를 보여주는 맥주는 아니었으며,
끝에 필스너 라거다운 은근한 씁쓸함을 선사해줍니다.
기반이 필스너 라거 스타일이라 Too Much 함은 없는
평이하면서도 알찬 구성의 맥주였다는 개인적 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