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파이어스톤 워커(Firestone Walker) 양조장의 대표 IPA 는
'유니언 잭' 으로 아메리칸 West Coast IPA 에 해당합니다.
그러나 Hazy IPA 의 시대가 도래하면서 많은 미국 양조장들은
레귤러 IPA 라인업에 Hazy IPA 제품들을 추가하게 되었는데,
Firestone Walker 입장에서는 그것이 Mind Haze IPA 에 해당합니다.
이후 파이어스톤 워커에서는 유니언 잭을 필두로 한 West Coast 계와
Mind Haze 를 선두로 한 Hazy IPA 계열의 파생 상품들을 출시하게 됩니다.
- 블로그에 리뷰된 파이어스톤 워커(Firestone Walker)의 맥주들 -
Firestone Walker Union Jack IPA (파이어스톤 워커 유니언 잭 IPA) - 7.5% - 2013.05.09
Firestone Walker Double Jack IPA (파이어스톤 워커 더블 잭 IPA) - 9.5% - 2013.06.16
Firestone Walker Double Barrel Ale (파이어스톤 워커 더블 배럴 에일) - 5.0% - 2015.11.13
Firestone Walker Easy Jack (파이어스톤 워커 이지 잭) - 4.5% -2015.12.29
Firestone Walker Wookey Jack (파이어스톤 워커 우키 잭) - 8.3% - 2016.06.05
Firestone Walker Pivo (파이어스톤 워커 피보) - 5.3% - 2016.09.10
Firestone Walker Pale 31(파이어스톤 워커 페일 31) - 4.9% - 2016.12.05
Firestone Walker Luponic Distortion No. 005 (파이어스톤 워커 루포닉 디스토션 005) - 5.9% - 2017.07.29
Firestone Walker Helldorado (파이어스톤 워커 헬도라도) - 12.8% - 2018.08.21
Firestone Walker Velvet Merkin (파이어스톤 워커 벨벳 머킨) - 8.5% - 2018.10.27
Firestone Walker Parabola (파이어스톤 워커 파라볼라) - 12.7% - 2019.03.10
Firestone Walker Rosalie (파이어스톤 워커 로잘리) - 5.0% - 2019.05.27
Firestone Walker Mind Haze IPA (파이어스톤 워커 마인드 헤이즈 IPA) - 6.2% - 2019.10.05
Firestone Walker Bretta Weisse (파이어스톤 워커 브레타 바이스) - 4.9% - 2020.01.29
Firestone Walker Feral Vinifera (파이어스톤 워커 페럴 비니페라) - 9.8% - 2020.03.14
Firestone Walker Sour Opal (파이어스톤 워커 사워 오팔) - 5.9% - 2020.08.24
Firestone Walker Fly Jack (파이어스톤 워커 플라이 잭) - 4.0% - 2020.12.01
Firestone Walker Idaho Gem (파이어스톤 워커 아이다호 젬) - 5.6% - 2022.04.11
Firestone Walker XPA (파이어스톤 워커 엑스피에이) - 5.0% - 2024.06.24
Firestone Walker Parabolita (파이어스톤 워커 파라볼리타) - 9.2% - 2024.09.18
Firestone Walker Cali Squeeze Blood Orange(파이어스톤 워커 캘리 스퀴즈 블러드 오렌지) - 5.0% - 2025.01.22
Firestone Walker Mind Haze Cosmic Crusher (파이어스톤 워커 마인드 헤이즈 코스믹 크러셔) - 9.5% - 2025.03.04
오늘 시음하는 California IPA 는 파이어스톤 워커의 또 다른 레귤러 IPA 로
파어이스톤 워커가 캘리포니아 출신이라 이런 이름이 붙었을것 같기도 하나,
사실 해당 맥주의 성향은 West Coast IPA 라 캘리포니아와도 연관됩니다.
그렇게 되면 기존의 '유니언 잭' 과 포지션이 겹치게 되어버리기에
California IPA 는 몇몇 차별점을 두어 자기 영역을 구축하였습니다.
유니언 잭에 사용되는 미국 홉들이 90~00년대에 주로 사용되던 홉이라면,
캘리포니아 IPA 는 신식 홉들 위주로 구성했는데, Mosaic 과 Strata, Citra 입니다.
더불어 유니언 잭에 비해 더 밝고, 덜 쓰게 만든 것 또한 눈에 띄는 부분으로,
같은 West Coast IPA 라고 유니언 잭에 비해 더 가볍고 새콤한 타입이라는 것입니다.
탁하지는 않아도 그렇다고 맑은 편도 아닌 금색 외관을 띕니다.
감귤이나 망고, 레몬, 파인애플 등등의 과일의 향이 먼저 왔고,
은근한 풀때기나 솔과 같은 측면도 쌉싸래하게 느껴졌습니다.
탄산기는 보통으로 무난한 청량감을 보유하고 있었고,
질감이나 무게감은 꽤 가벼운 편이라 산뜻하게 마시기 좋습니다.
맥아에서 나오는 단맛은 거의 없지만 희미한 밝은 시럽 단맛이 있고,
홉에서 나오는 맛은 향에서도 언급했었던 열대과일,시트러스로
잔잔한 씁쓸한 맛과 풀과 같은 맛들로 찾아오고 있었습니다.
Mosaic, Citra, Strata 면 Hazy IPA 에서도 주력으로 쓰이는 홉 품종인데,
Hazy IPA 에서 쓰이면 쥬스와 같은 달큰한 맛이 많이 부각이되는데,
West Coast IPA 인 오늘의 맥주에서는 그런 면이 현격하게 줄어서
Hazy IPA 에서의 효모 발효맛의 존재감을 깨닫게 해주던 맥주였네요.
아무튼 오늘 시음한 California IPA 는 과한 느낌 없이
편하게 마실 수 있는 적당히 새콤하고 적당히 달콤한 맥주였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