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샌 디에고 출신의 그린 플래쉬(Green Flash) 양조장이 만드는
더블 스타우트(Double Stout)는 스타우트라는 이름에서 확인 가능하듯
로스팅 된 맥아 특징이 효과적으로 살아나는 검은색의 맥주입니다.
더블(Double) 스타우트라는 이름은 기존의 스타우트들에 비해
8.8%라는 알콜 도수가 말해주듯 더욱 더 강화된 의미로 무장했단 의미로
종종 Double 이라는 의미는 임페리얼(Imperial)과 같은 뜻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Double / Imperial이 붙으면 IPA, Stout, Porter, Pilsner 등등 기존의 스타일보다
도수-홉의 쓴 맛(IBU)-맥아의 묵직함 등이 향상됨을 뜻하는 것으로
쉽게 이해하면 Double / Imperial 은 센 맥주라고 받아들이면 됩니다.
- 블로그에 리뷰된 그린 플래쉬(Green Flash)의 맥주들 -
Green Flash West Coast IPA (그린 플래쉬 웨스트 코스트 IPA) - 7.2% - 2012.12.31
Green Flash Rayon Vert (그린 플래쉬 레이온 버트) - 7.0% - 2013.10.11
임페리얼 스타우트(Imperial Stout)가 기존의 스타우트에서 홉+맥아의 동반 상승으로
로스팅 된 검은 맥아 맛 + 달작지근한 묵직함 + 홉의 씁쓸함 등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왠만한 자극에는 단련된 극강의 매니아 층에게는 종합선물세트와 같은 맥주라
임페리얼 스타우트(Imperial Stout)는 극 매니아 층에서는 최고 인기 스타일입니다.
그린 플래쉬가 홈페이지에 밝힌 더블 스타우트(Double Stout)의 스펙을 보면
8.8%의 도수에 홉의 씁쓸한 수치인 IBU 는 45 밖에 안 되는데,
기본적인 스타우트들 가운데서 좀 씁쓸한 제품들이 40을 상회하며
Double / Imperial Stout 들에서는 최저 IBU 대를 기록하는 제품입니다.
높은 도수와 맥아적 성질(Malty) + 홉의 빵빵 터지는 자극적인 제품이 아닌
홉의 파워는 경감되었기에 부드럽고 묵직함 맥아적인 캐릭터가 위주인
'그린 플래쉬 더블 스타우트' 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갈색 거품이 두껍게 쌓이는 더블 스타우트는
빈 틈 없이 빽빽한 검은 색상을 띄었습니다.
향에서는 로스팅 된 맥아 향이 은은하게 풍겼으며
초컬릿이나 커피 + 달달한 카라멜 향이 감지됩니다.
홉의 향은 시트러스나 과일스러운 향이라기보다는
차분하고 안정된 숲속의 향이나 젖은 흙(Earthy)이 강하네요.
홉 아로마의 세기는 맥아에 비해서 튀게 다가오진 않습니다.
탄산감은 조금 약한편이지만 맥주 스타일을 고려하면 적당하며,
부드럽지만 질척이고 끈적함, 크리미-기름진 질감이 돋보이는데
확실히 재료 중 포함된 귀리(Oat)의 효과를 본 것 같습니다.
무게감 또한 질감과 상이하지 않게 동반하는 특징을 지녔습니다.
묵직하고 육중하며 가라 앉은 느낌을 선하하는군요.
평소 Imperial 이라는 표현이 익숙한 분들께는 만족감을
그 단어가 낯선 분들께는 강하고 부담스러움을 줄 것 같습니다.
맛에서는 아무래도 스타우트(Stout)인 만큼 검은 맥아의 특징
향에서 언급했던 것들과 동일한 로스팅-커피-초컬릿의 맛이 강하며
약간의 카라멜-토피(Toffee)와 같은 달작지근함이 남아주어
떫고 씁쓸한 검은 맥아의 로스팅 성향으로만 가는걸 방지해줍니다.
홉은 시트러스 열대 과일의 특색처럼 맥아 특징을 뚫고 나오는
강한 캐릭터는 아니지만, 차분함을 줄 곧 유지하는 차(Tea) 잎이나 수풀 등의
Earthy 함으로 자극적임을 줄였음에도 후반부에 남는 홉의 은은함이 좋습니다.
8.8%라는 도수에 비해서 알코올 성향이 튄다는 느낌은 그다지 없었고
깊고 묵직함이라는 확고한 성향의 스타우트라는 포지션,
완성도 있는 맥주라는 인상으로서 호감가는 맥주였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