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0 문항으로 단계 1 ~ 6 까지, 각 단계별로 5문제가 출제됩니다.
오름차순으로 문제의 난이도가 높아지며, 단답식과 주관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어디까지나 재미로서 풀어보시기를 바라며, 문제풀이 중 블로그 검색은 삼가해주세요.
혹시 보기나 예시가 애매하거나 잘못된 문항이 있을 경우에는 저에게 알려주십시오.
풀이한 답을 댓글로 남기지는 말아주세요 ~
문제들은 맥주에서 시음과 스타일, 역사관련 하여 출제되며, 양조관련 문제는 없습니다.
정답은 3월 24일 토(土)요일 댓글을 통해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
1. 맥주를 구분하는 가장 보편적인 분류 방식은 ?
① 보리맥주 - 밀맥주 ② 유럽맥주 - 비유럽맥주 ③ 라거 - 에일 ④ 금색맥주 - 흑맥주
2. 독일 맥주 순수령에서 정의한 맥주의 3 재료가 아닌 것은?
① 홉 ② 보리맥아 ③ 물 ④ 쌀
3. 다음 중 맥주가 아닌 것은?
① 로그 초컬릿 스타우트 ② 허니 브라운 ③ 웰스 바나나 브래드 ④ 머드쉐이크 카푸치노
4. 체코 필젠지역에서 탄생한 스타일의 맥주. 금빛 색상과 씁쓸한 홉 맛으로 유명하며,
체코와 독일이 주 원산지이다. 전 세계적으로도 보편적으로 퍼져있는 이 스타일의 맥주는 ?
5. 독일 바이에른 지역에서 출신한 맥주. 밀 맥아를 사용했고 풍부한 거품과 바나나스런 맛을 자랑.
'흰 맥주'. '밀 맥주' 라는 의미의 독일어 이름을 가진 이 스타일의 맥주는 ? (복수정답 인정)
6. 미국의 대표적 상업맥주 '버드와이저(Budweiser)'의 모태인 체코출신 맥주의 이름은?
① 스타로프라멘 ② 발티카 ③ 감부리누스 ④ 부데요비츠키 부드바르
7. 다음 중 스타일이 다른 맥주는?
① London Pride ② Erdinger ③ Weihenstephaner ④ Maisel's
8. 다음 중 올바른 조합이 아닌 것은?
① 피에르 셀리스 - 호가든 ② 라거 - 상면발효 ③ Duvel - 악마 ④ 펌킨 에일 - 할로윈
9. 어둡다는 의미의 독일 단어. 영어로는 Dark 이며, 독일에서 어두운 색을 띄는 맥주를 칭함.
주로 뮌헨식으로 양조되어지는 Dark Beer 를 뜻하는 스타일의 맥주는?
10. 일본의 맥주 세금 시스템이 만들어 낸 스타일의 맥주로, 100% 맥아의 맥주에 부과되는
세금보다 낮은 액수를 지불하기 위해 67% 미만의 맥아비율과 부가물로 만든 맥주.
All Malt 맥주보다 풍미는 연하지만 가벼운 맛을 원하는 대중에게 인기가 있는 이 맥주는?
11. 영국식 Dark Ale. 18세기부터 마셨다는 기록이 있으며,
런던 주변의 짐꾼들이 즐겨마셨다는데서 유래한 이름의 이 맥주는?
12. 대량생산 맥주공장과 아주 대조적인 성향의 양조장을 의미하는 용어로,
자가양조가의 취미생활이 진화하거나 지역 선술집이 변화한 경우가 많다.
1980~90년대 미국과 영국에서 큰 붐이 일어났고 다양성, 개성을 중시한다.
이러한 양조장을 일컫는 용어는? (복수정답 인정)
13. 본래는 수도원 맥주였으나 상업적 양조장에 양조를 허가하여,
상업적으로 널리 유통 할 수 있게 된 수도원식 맥주들을 칭하는 용어는?
① Old Ale ② Abbey Ale ③ Trappist Ale ④ Gose
14. 다음 중 출신국가가 다른 맥주를 고르시오
① Bavaria ② Grolsch ③ Bitburger ④ Heineken
15. 독일에서 일반맥주보다 알콜 도수가 높고 풍미가 진한 맥주를 정의한 것으로,
그 이름의 어원은 독일의 Einbeck 에서 왔다는 설이 있는 스타일의 맥주는?
16. 벨기에의 자연발효 맥주. 대표적 양조장은 칸티용(Cantillon)과
린데만스(Lindemans)등이 있다. 이는 무엇인가?
① Saison ② Landbier ③ Witbier ④ Lambic
17. 각 도시를 대표하는 맥주와 도시이름이 잘못 연결 된 것은?
① 도르트문트 - Export ② 쾰른 - Kölsch ③ 뒤셀도르프 - Alt ④ 뉘른베르크 - Rauchbier
18. IPA는 한 맥주 스타일 명칭의 약자이다. IPA 의 풀 네임은?
① Irish Premium Ale ② Indian-Pacific Ale ③ India Pale Ale ④ Industrial Product Ale
19. 영국 펍에서 제공되는 생맥주로, 인공적인 탄산이나 질소 주입을 배제하고
無 여과, 無 살균되어 효모가 살아있는 맥주를 지향한다. Real Ale 이라 불리는 이것은?
20. 현재 한국 유일의 黑맥주인 'Stout' 의 이름이 범한 오류를 서술하시오.
21. 트라피스트 맥주의 하나로, 라벨이 없는 것으로 유명한 이 맥주는?
① Westvleteren ② Achel ③ Orval ④ La Trappe
22. 원래는 18~19 세기 영국에서 러시아의 차르정부를 위해 수출했던 스타일의 맥주로,
변질, 동파방지를 위하여 다량의 홉을 사용하고 알콜 도수를 높인것이 특징이다.
현재는 미국 양조장들에 의해 재해석되어 강렬한 홉과 맥아적 성질을 뽐내는 이 스타일은?
① Barley Wine ② Wee Heavy ③ Imperial Stout ④ ESB
23. 벨기에 자연발효 맥주의 하위 종류 중 하나로, 부가재료로 체리가 들어간 맥주는?
① Faro ② Geueze ③ Kriek ④ Framboise
24. 벨기에 플랜더스 지역이 주 원산지인 맥주로, 와인과 같은 산미와 붉은 색상이 특징인 이 맥주는?
25. 체코의 대표적인 Hop 생산지. 체코어인 Zatec 보다는 독일식 표기인 ( )로 더 알려져있다.
생산지 동명의 ( )홉은 우르켈같은 체코 대표 맥주에 사용되었으며, Noble Hop의 한 종류이기도하다.
26. 2011년 6월 프랑스 북동부의 트라피스트회 수도원의 Mont des Cats 가
8번째 트라피스트 맥주로 인정받지 못한 이유는?
27. 독일 프랑켄지역에서 만드는 옛 방식의 라거맥주로, 효모를 걸러내지 않은
진하고 거친 맛이 특징이다. 지하실 맥주라는 독일어 이름을 가진 이 스타일의 맥주는?
28. 19세기 중반에 탄생하여 현재까지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만들어지는 스타일의 맥주로,
캘리포니아의 더운 날씨가 라거효모의 낮은 발효온도에 적합치 않았고,19세기 당시 냉장고는 비쌌기에,
어쩔 수 없이 상온에서 발효시켜 만든 라거맥주이다. Anchor 양조장이 상징적인 이것은? (복수정답 인정)
29. 독일의 이 도시는 고유의 밀맥주로 유명하다. 시큼한 과일 맛과 청량감, 낮은 도수가 특징이다.
시럽을 첨가하여 과일맛을 향상시키기도하며, 19세기 나폴레옹의 군인들은 이 맥주에
북유럽의 샴페인이라는 별칭을 붙이기도 했다. 이 맥주를 만드는 독일 도시의 이름은?
30. 이 사람은 1841년 비엔나 라거를 처음 양조한 사람으로, 당시에는 선진기술인 라거맥주에
영국에서 배운 카라멜 몰팅 기법을 사용하여 붉은 빛이 감도는 비엔나 라거를 만들었습니다.
오스트리아 출신인 이 사람의 성은 헝가리 한 양조장의 이름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라거맥주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알려져있는 이 사람의 이름은?
댓글을 달아 주세요
으으 ..5단계까지는 수월하게 풀겠는데 6단계는 전혀 기억이 안나거나 못들어본것도 있네요 ..어렵 ㅜ
5단계까지 수월하셨다면 정말 맥주에 관심 많으신거예요~
사실 6단계는 만점 방지용 문제들, 심술이 있었죠~
반타작은 한 것 같은데 ㅎㅎ
푸는 동안 너무 재밌었어요.
학창시절 이런 문제들만
나오는 시험이 있었으면
정말 공부 열심히 했을텐데요.
재미있었다니 다음에 또 출제해야겠네요~
이런 문제만 있었다면 명문대 맥주학과에 진학 가능했을까요 ? ㅋㅋ
나름 맥주도 많이 마셔보고 관심도 많아서... 이정도면 나도 매니아가 아닐까? 생각했었는데
정말 많이 부족하네요 아직...ㅎㅎㅎ 재미있었습니다..
사실 따로 공부하지 않아도 계속해서 접하고 익숙해지다보면 저절로 알게되는 지식이 맥주인데..
그게 우리나라에서는 생각만큼 쉽지 않죠..
비밀댓글입니다
24번 답에 해당하는 맥주는 값이 좀 있고 한정된 장소이기는 하지만 구할 수는 있습니다.
서울역 근처에서요. 관심있으시면 알려드릴께요~
하지만 21번의 답은 전혀 구할 수가 없죠..
일본에서는 구할 수 있다고는 하던데..
가격이 만만찮겠죠.. 벨기에에서도 12유로 하던 녀석이니
베스트블레테렌은 너무 비싸긴하죠.... 몇병 가지고 있지만 쉽게 먹어지지않는 녀석이죠...ㅎㅎㅎ
제가 작년 초 유럽에서 돌아오면서 베스트블레테렌 12를 한 병 사들고 왔고,
그것을 친한 친구에게 선물로 주었는데.. 그 친구도 아까워서 못마시고 있는 중입니다 ㅎㅎㅎ ~
아이고 이제막 맥주에관해 공부하기 시작했는데 4단계부터는 하나도 모르겠네요 ㅠㅠ
국내에서 그나마 쉽게 구할 수 있는 스타일로는
3단계까지가 사실상 마지노선이라고 생각해요~
사실상 4단계부터는 해외생활이나 진짜 관심갖고
유럽/미국에서 비어헌팅하지 않는이상
평생 모르고 지낼수도 있는 스타일이 될 수도 있죠~
3단계까지는 그런대로...
4단계부터는 한두개...
6단계는 이건 뭐지...
아직 멀었군요...
모르신다고 해서 자책하실 필요는 전혀 없습니다~
삽질만 님께서는 제 블로그에 자주 오시니
앞으로 제가 올리는 글만 꾸준히 보면 6단계까지도 문제없죠~
3단계까지는 그런대로 알겠는데 4단계부터는 가물가물 ㅎㅎ
지식도 중요하지만 즐기는 마음도 중요하겠죠?
저는 마음만은 애호가로 불리고 싶네요~ ^^
해일링님 말씀대로 지식도 중요하긴하지만 즐기는 마음과 새로운 것에 대한 도전이 더 중요하죠~
그러다보면 저절로 지식은 따라오게 되어 있습니다~
3단계까진 풀겠는데 4단계부턴 무리군요. OTL
역시 더 마시고 배워야 겠지요? ㅎㅎ
마트에서 구할 수 있는 제품들로만 보면
사실 3단계까지가 한계라고 보기때문에..
OTL 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정말 OTL 해야할 것은 우리나라 맥주시장의 다양성이겠죠~
그렇게만 된다면 5~6단계도 수월하게 풀 수있는 분들이 많아질텐데요~
모든 댓글은 다음주 토요일인 3월 24일에 등록할께요~
저도 5단계까지는 대부분 알겠는데 6단계는 매우 어렵네요;;
5단계를 막힘없이 풀 수있다면 이미 맥주 고수임을 증명하신 셈입니다~
3단계 부터는 좌절이네요 ㅠㅠ
다양하게 맥주를 즐기시고 마시기 전에 한 번씩만 정보를 훑어본다면 4~5단계도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5/6단계가 저에겐 좀 어렵네요..ㅎㅎ
그래도 나름 흥미있습니다.ㅋㅋ :)
여기서 나오는 답의 맥주를 지금 이 시간에 마시고 있는 것도 참 우연이죠~~ :)
부드바르/비트부르거/런던 프라이드 가운데 하나인가요? ㅋㅋ
5/6 단계에서 반타작만해도 사실 우리나라에서는 맥주지식 상위 5%에 든다고 할 수 있으니 좌절금지요 ㅋㅋ
재미있게 풀었습니다~ ㅎ 문제 내느라 고생 넘 많으셨어요!
문제에서 맥주의 역사를 좋아하는 살찐돼지님의 취향이 엿보이는 듯..
못푼 문제들이 몇 있는데 정답 나오는 시간이 기다려지네요~
문제 출제하는데 있어서는 어려울게 없었습니다.
다음에 제 2회 평가때 낼 문제도 염두에 두고 있으니까요 ㅋㅋ
재미있게 풀었다는 의견이 많으니
2회평가를 앞당겨볼까 생각중입니다 ~
캬아님의 점수도 기대되네요 ~
ㅎㅎ 저도 4단계까지는 가는데 5단계는 반타작이고 6단계는 하나밖에 모르겠네요
문제 내시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
위에 댓글 남겨주신 분들도 makeaton 님처럼 제 블로그에 자주 방문해주시는 분들인데,
대부분 4,5,6 단계에서 점점 막히는게 있다는군요~
사실 4단계까지 대부분 맞추셨다면 지식이 상당하신 것이니까요~
문제 푸시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 ~~
흥미진진하네요! 정답이 정말 궁금합니다. ^^
정답이 이제 나왔으니 채점해보세요~
20개 이상 맞추셨으면 땀에서 홉내가 난다해도 과언이 아닐겁니다 ~
정답입니다 ~
1단계: 1.③ 2.④ 3.④ 4.필스너 5. 바이스비어/바이젠
2단계: 6.④ 7.① 8.② 9.둔켈 10.발포주
3단계: 11.포터 12.마이크로 브루어리/크래프트 브루어리 13.② 14.③ 15.복
4단계: 16.④ 17.④ 18.③ 19.캐스크 에일 20. 이름이 상면발효 스타우트(에일)인데 라거타입
5단계: 21.① 22.③ 23.③ 24.플랜더스 레드 에일 25.Saaz(자츠)
6단계: 26.수도원 담장내에서 만들어지지 않음 27.Kellerbier(켈러비어)
28.캘리포니아 커먼(California Common)/스팀비어(Steam beer)
29.베를린 30.안톤 드레허(Anton Dreher)
참혹한 결과네요. ㅋㅋ
두가지 질문 있습니다.
10번의 발포주는 영어권에서는 어떻게 불리나요?
22번은 브루어리에 따라 차이가 있지 않을까요?
영어표기로는 Happoshu 라고 하더군요~
Laine 님 의견대로 양조가의 성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고,
강렬한 홉과 맥아적 성질의 맥주가 임페리얼 스타우만 있는게 아니지만..
첫 문단에 18~19세기 러시아 차르정부에 관련한 문제이니 임페리얼 스타우트죠~
실제로 예전에 마셨던 영국의 임페리얼 스타우트에서는 홉의 특징이
Gentle 했다는 느낌인것도 있었습니다~
그렇군요. 답변 감사해요 ^^
4단계 까진 얼추 알겟는데 5,6은 거의 반타작이네요 ㅋ
5,6 단계에서 반타작이라도 하셨으면,
국내에서는 맥주지식이 수준급이라는 것이니 좌절마시길~
평소 맥주에 관심이 많고.. 살찐돼지님의 모든 포스트(맥주 평 제외)를 읽어본 제가 풀었는데도..
23개 밖에 못맞쳤네요 ㅎㅎ
이거 사람 불러야겠는데요~? 공부 제대로 한 사람으로~!
아무튼 즐거웠습니다 ^^ 더 공부 해야겠네요~!
23정도라면 상당히 수준급이라고 할 수 있죠~
다음에 제 2회 퀴즈를 출시할 생각이니 참여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