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크래프트 맥주계의 대부인 Sierra Nevada 에서는
정기적으로 북반구 & 남반구 하비스트 IPA 를 내고 있습니다.
최근 수입업체가 바뀌면서 한동안 국내에서 뜸했던
시에라 네바다가 다시 들어왔고 라인업이 강화되었는데,
IPA 가 다들 그렇겠지만 컨셉상 더 빨리 소비해주면 좋을게
개인적으로 생각하기에는 오늘 시음하는 북반구 하비스트 IPA 입니다.
그래서 새 물량 가운데 가장 먼저 픽해서 리뷰하는 제품입니다.
- 블로그에 리뷰된 시에라 네바다(Sierra Nevada) 양조장의 맥주들 -
Sierra Nevada Pale Ale (시에라 네바다 페일 에일) - 5.6% - 2010.11.01
Sierra Nevada 30th Anniversary Barleywine (시에라 네바다 30주년 발리와인) - 10.2% - 2010.11.27
Sierra Nevada Ruthless Rye IPA (시에라 네바다 루스리스 라이 IPA) - 6.6% - 2012.08.13
Sierra Nevada Torpedo Extra IPA (시에라 네바다 토피도 엑스트라 IPA) - 7.2% - 2013.08.27
Sierra Nevada Stout (시에라 네바다 스타우트) - 5.8% - 2013.10.13
Sierra Nevada Summerfest (시에라 네바다 섬머페스트) - 5.0% - 2014..11.21
Sierra Nevada Porter (시에라 네바다 포터) - 5.6% - 2015.04.01
Sierra Nevada Celebration Ale (시에라 네바다 셀러브레이션 에일) - 6.8% - 2015.05.15
Sierra Nevada Hop Hunter IPA (시에라 네바다 홉 헌터 IPA) - 6.2% - 2016.04.03
Sierra Nevada Oktoberfest 2016 (시에라 네바다 옥토버페스트 2016) - 6.0% - 2016.10.28
Sierra Nevada Nooner Pilsner (시에라 네바다 누너 필스너) - 5.2% - 2017.04.01
Sierra Nevada Kellerweis (시에라 네바다 켈러바이스) - 4.8% - 2017.10.01
Sierra Nevada Otra Vez (시에라 네바다 오트라 베즈) - 4.5% - 2017.11.26

제가 본 것만해도 2009년 경부터 시작된 전통의(?)
Northern Hemisphere Wet Hop IPA 인데,
북반구에서 홉을 수확하는 시기는 늦여름에서 초가을 정도로
이 때 수확한 홉은 수분이 말려진 다음에 잎사귀 형태나
펠릿(Pellet) 형태로 가공되어 진공&냉동 보관되기에
수확시기와 먼 봄이나 초여름에도 맥주를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Wet Hop 은 수분에 의해 빠르게 상할 위험이 있는
말려지지 않은 홉을 이용하여 맥주를 만드는 것인데,
민감한 곳은 수확 후 24시간 내에 만드는걸 원칙으로 합니다.
사실상 홉 수확지 근처의 양조장이 초가을에만 가능한 양조로
예를 들어 홉 산지가 아닌 스웨덴 양조장은 자력으로는 불가능하겠고,
미국의 시에라 네바다 정도니까 진행할 수 있는 일이라고 봅니다.
이해하기 쉽게 홉을 생선으로 비유하면 생선도 계절마다 철이 있고,
계절에 맞는 생선을 잡아 즉석에서 회떠 먹는게 Wet Hop IPA 느낌,
(Wet Hop 과 Fresh Hop 의 차이는 업계에서도 아직 정확한 정의가 없음)
수산물 공판장 등에 실려와서 냉동 or 염장되어 보관 후 배송,
훗날 소비자가 시장에서 먹게되는 생선이 일반 IPA 느낌입니다.
오늘 시음하는 Northern Hemisphere Wet Hop IPA 는
2020년 올해 수확한 홉으로 만들었으니 병입이 9/15 찍혀있네요.
이런 컨셉이니 당연히 다른 맥주들보다 빨리 마시는게 좋겠죠.

뻘건 IPA 참 오랜만에 봅니다. 역시 1980년부터 시작한
크래프트 맥주의 대부 Sierra Nevada 다웠습니다.
맑은 편에 붉은 호박색을 띄는게 꼭 Amber Ale 같습니다.
홈페이지에 사용된 홉은 미국의 Centennial Wet Hop 단독으로,
센테니얼이면 예전 미국 크래프트 맥주 IPA 를 주름잡던 홉으로
홉을 아이돌로 비유하면 BTS 활동하는 시기에 God 보는 격입니다.
쥬시나 열대과일 팡팡 터짐과는 거리가 먼, 풀(Grass)과
솔(Pine), 약간의 흙과 은근한 감귤류가 복합적인 향이며,
카라멜과 같은 단 내가 아주 희미하게 홉과 동반합니다.
향은 살짝 코를 찌르는 듯 날이 서있는게 마음에 듭니다.
탄산감은 많지 않고 무딘 쪽에 가까운게 흠은 아니며,
질감이나 무게감은 중간 수준으로 무겁지 않은 정도로
매끄러움과 안정감을 주는 정도라 West Coast 느낌도 아닙니다.
색상에서 어느정도 카라멜 맥아 단 맛을 예상하긴 했고,
분명이 그런류의 단 맛이 입에 맴돌긴하나 물리게하지 않으며
단 맛은 이내 홉에게 자리를 내어주고 빠르게 퇴장합니다.
홉의 맛은 향과 마찬가지로 센테니얼 홉에서 기대할 수 있는
풀, 솔, 흙, 약간의 나무, 감귤 등등이 등장해주었습니다.
쓴 맛 수치가 67 IBU 로 기록되기에 요즘 기준에선 높은 편이나
막상 마시면 적절한 쓴 맛여운이 IPA 를 마신 것 같다는 기분들게합니다.
Wet Hop IPA 라는 특수성을 논외로 놓고 본 다면 Amber Ale 의
IPA 화 버전인 Red IPA 쪽에 분류를 둬도 좋을 것 같다는 견해입니다.
맥주 블로그 12년차의 옛 느낌 IPA 좋아하는 사람이라
상당히 정겹게 만족하며 마셨고, 기본 이상은 해주는 시에라 네바다에
병입 된지 두 달 된 Wet Hop IPA 까지 시너지가 발휘되어서
이런 맥주 올리는 맛에 맥주 블로그한다는 기분을 오랜만에 들게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