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별 맥주들2987

Schneider Aventinus Bock (슈나이더바이스 아벤티누스 복비어) - 8.2% 독일맥주 종류중에 보면 Bock(복)비어라는 종류가 있습니다. 처음엔 복비어가 뭔지도 모르고 그냥 마셔봤는데 맛도 상큼하니 괜찮았지만 생각보다 다른 맥주보다 빨리 취하는 느낌이 있어 자세히 들여다 보니 알콜도수가 최소 7%는 넘는 맥주들이었습니다. 그중에서도 이번에 소개할 아벤티누스는 8.2%의 도펠(더블)복비어니 도수가 더 강한 복비어에 속하죠. 처음에는 어지간한 바이스비어를 출시하는 기업 예를들면 파울라너,에어딩어,슈나이더,아우구스티누스등에서 복비어를 출시하는 것을 보니 밀맥주에서 좀 더 도수를 강하게 만든 비어가 복비어구나 했지만.. 복비어도 독일에서는 상면발효하는 Weizen Bock과 하면발효하는 Bock으로 나뉜다는 것을 알고는 역시 독일 맥주를 다 마셔 보기 전까지는 독일맥주에 대해 좀 안다.. 2009. 6. 29.
Pilsner Urquell (필스너 우르켈) - 4.4% 필스너 우르켈은 체코 서부 Plzen(독일어로는 Pilsen)에서 만들어진 맥주입니다. Pilsen 은 체코인들이 사는 지역이지만 독일 바이에른주와 지리적으로 매우 가까워 한때는 신성로마제국과 합스부르크 오스트리아에도 속했습니다. 독일인들의 왕래가 잦았고 바이에른주와 함께 맥주의 역사에 빠질수 없는 지역이기도 합니다. 필스너 혹은 필스는 독일식 발음인 Pilsen에서 나온 것입니다. Pilsen 지역 특유의 맥주라는 뜻인데 워낙 폭발적인 인기로 세계로 뻗어나갔기 때문에 현재는 필젠의 맥주가 아닌 쌉사름한 남성취향적인 맥주의 한 종류를 뜻하는 고유명사가 되어 버렸습니다. 독일기업들이 맥주라벨에 Pils라는 문구를 쓰는것에 불만을 느낀 Pilsen의 양조업계에서 그들만의 가치를 지키기 위해 독일법원에 독일기.. 2009. 6. 29.
König Ludwig Dunkel (쾨니히 루트비히 둔켈) - 5.1% 쾨니히 루트비히 둔켈은 한국어로는 루트비히왕 맥주입니다. 바이에른의 마지막 왕이었으며 노이슈반슈타인성을 건축한 왕으로도 유명한 루트비히 2세를 기리기 위한 맥주입니다. 역시 쾨니히 루트비히 또한 바이에른출신 맥주입니다. 저도 독일에 오기 전까지 흑맥주 하면 떠오르는게 기네스와 스타우트였습니다. 그래서 막연히 둔켈(다크)라거도 같은 맥락이겠거니 생각했지만 제조공정부터가 아예 다른 맥주라는 것을 마이젤바이스공장 견학을 통해 알게 되었죠. 기네스와 스타우트는 영국,아일랜드식 맥주로 흔히 에일맥주라고 표현합니다. 이것들은 상면발효맥주라 거품이 많고 진한면이 있죠. 독일에서는 밀맥주인 바이스비어가 상면발효맥주에 속합니다. 하지만 둔켈라거는 보리맥주로 대체로 하면발효하는 맥주입니다. 검은색이 나는 말츠(몰트)를 써.. 2009. 6. 28.
Weihenstephaner HefeWeissBier (바이헨스테파너) - 5.4% 바이에른 주 출신의 또 다른 바이스비어인 바이헨슈테파너입니다. 2008년 독일에서 우수한 맥주로 선정되었고 금메달 5개를 하사받은 맥주입니다. Getränkemarkt(음료수마트)에서 고를 때 금메달 5개 사진이 자랑스럽게 함께 진열되어 인상깊었습니다. 바이헨슈테파너의 라벨을 보면 독일어로 Älteste Brauerei Der Welt 라는 문구가 보이는데 뜻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맥주 양조장이라는 뜻입니다. 라벨 옆면에 보면 Seit 1040이라고 표시되었습니다. 영어로 Since 1040 즉, 1040년 부터 맥주를 양조 했다는 거죠. 뮌헨 근교에는 수도사들이 만든 맥주 양조장이 많습니다. 예를 들면 프란치스카너, 아우구스티너, 파울라너, 바이헨슈테파너등 수도승맥주로 불리는 것들이죠.. 그중에서 바.. 2009. 6. 28.